운동이 장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핀란드 위베스퀼레대 연구팀이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적당한 운동은 사망 위험을 줄이지만, 지나치게 많은 운동이 반드시 장수로 이어지지는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연구 결과: 적당한 운동이 가장 효과적
연구팀은 1958년 이전 출생한 핀란드 쌍둥이 2만 2750명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1975년, 1981년, 1990년에 걸쳐 신체 활동 수준을 평가했다. 이후 2020년까지 이들의 사망률을 추적했다.
참가자들은 신체 활동 수준에 따라 좌식 그룹(거의 운동하지 않음), 중간 그룹(적당한 운동), 활동적 그룹, 매우 활동적 그룹으로 나뉘었다.
가장 큰 차이는 좌식 그룹과 중간 그룹에서 나타났다.
적당한 운동을 한 그룹은 사망 위험이 7% 감소했다.
하지만 운동량이 많은 그룹과 적당한 운동을 한 그룹 간에는 수명 차이가 없었다.
즉, 많이 움직인다고 해서 더 오래 사는 것은 아니었다.
너무 적거나 많으면 오히려 노화 가속
연구팀은 혈액 샘플을 통해 생물학적 노화 속도도 분석했다.
운동을 거의 하지 않는 사람들과, 과하게 많이 하는 사람들에서 노화가 빨라지는 경향이 있었다.
즉, 운동과 노화는 U자형 관계를 보였다.
WHO 운동 지침도 효과 없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매주 중간 강도 운동 150~300분 또는 격렬한 운동 75~150분을 권장한다.
그러나 연구에 따르면, 이 기준을 충족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간에 사망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론: 운동의 ‘양’보다 ‘적정 수준’이 중요
이번 연구는 기존에 운동이 많을수록 건강과 수명에 더 도움이 된다는 통념과 상반되는 결과를 보여 논란이 되고 있다.
연구를 이끈 엘리나 실란파 교수는 “운동을 전혀 하지 않거나 지나치게 많이 하면 오히려 생물학적 노화가 가속화될 수 있다”며 ‘적당한 운동’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강조했다.
이 연구는 《유럽 의생태학 저널(European Journal of Epidemiology)》에 게재되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